본문 바로가기

1월 4일 오늘의 특징주, 상한가 주요 테마 뉴스

시골선사 쟌 발행일 : 2023-01-04

오늘의 특징주로는 반도체 관련주들의 상승이 눈에 띄게 많았습니다. 반도체 관련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뉴스가 주요한 모멘텀으로 작용했습니다. 그리고 메타버스, XR, 드론, 무인기, DDR5 관련 뉴스가 많이 보였습니다. 2023년 초에 언급되는 주요 테마 뉴스에 지속 관찰이 필요해 보입니다.

 

오늘의 특징주, 상한가 및 주요 테마 뉴스

1월 4일 오늘의 특징주 

데이터센터 신규 투자 증가에 관련 기업 주가 급등  
현대중공업, 현대삼호重 상장철회에 5%대 ↓  
한국조선해양, 현대삼호중공업 상장 철회 소식에 강세  
'조코바' 품목허가 신청에 일동제약·홀딩스 강세
광무, 횡령·배임 혐의 발생에 3%대↓  
샤페론, 아토피 치료제 ‘누겔’ 성공가능성에 강세
백산, 32억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에 강세  
테슬라 쇼크에…LG엔솔 등 2차 전지株 약세  
삼성 투자받은 레인보우로보틱스, 이틀 연속 상승세
한샘·현대리바트, 1조 원대 담합 의혹에 약세  
아이티센, 금값 6개월 최고가 경신에 한국금거래소 지분 부각↑
삼성전자·SK하이닉스 동반 강세… 반도체 기업 세액공제 영향
비츠로시스, 177억 규모 주주배정 유증에 27%↓
웨이버스, 국정과제 플랫폼 개발…尹 '메타버스 규제' 개혁 속도
애플 3% 급락에 LG이노텍 등 부품주도 약세  
신풍제약, 63억 규모 횡령·배임 혐의 발생에 약세  
LG엔솔, 실적부진·매도물량 집중 우려 등에 연일 하락
클리오, 역대 최대 매출 예상에 강세
올해 신작 게임 출시 예고… 웹젠, 장 초반 강세
크리스털지노믹스, 항암신약 美FDA 희귀 의약품 승인 소식에↑
명문제약, 코로나19 증상완화 탁월.. 이부프로펜정 식약처 품목허가 획득 소식에↑
에이테크솔루션, 삼성 美라이다용 반도체 칩회사 루모티브에 추가 투자 소식↑

 

1월 4일 거래량 급증 + 기관, 외국인 순매수 상위 

- 원익IPS 기관 41억
- 피에스케이 기관 22억 외국인 16억
- 하나머티리얼즈 기관 18억
- 글로벌텍스프리 기관 12억
- CJ ENM 외국인 36억
- 원익QnC 외국인 13억
- 프롬바이오 외국인 11억

 

반도체관련장비주-3분기실적및밸류에이션
반도체 장비주

 

오늘의 장중 주요 뉴스

FOMC의 발목 잡기는 없어질 듯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30765#home

 

새해 FOMC 멤버 3분의 1 물갈이…‘비둘기’ 목소리 커진다 | 중앙일보

12명의 위원 가운데 제롬 파월 의장을 비롯한 Fed 이사 7명과 뉴욕 연은 총재는 당연직으로 참여한다. 하커 총재는 "이미 충분히 제한적인 수준의 금리 인상을 했다"며 속도 조절 필요성을 강조했

www.joongang.co.kr

 

드론 관련주 주목받을 듯 

우리나라 공무원은 대통령이 관심 가지면 가격 상관없이 밀어붙이잖아요. 아마 관련주들은 기회일 겁니다.

https://www.fnnews.com/news/202301041121430873

 

[속보]尹 "연내 소형드론 대량 생산, 스텔스 무인기 개발 박차 가하라"

[파이낸셜뉴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www.fnnews.com

 

카자흐스탄 원전
미국이 참여하지 않으니 미국의 태클을 없을 것 같고, 중국이 가격으로 밀어붙일 듯 하지만 러시아, 중국은 위험하고, 프랑스는 비싸다. 그러면 한국?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867250?sid=101 

 

12조원 규모 카자흐스탄 원전, 한·프·러·중 4파전

연내 2기 건설 사업자 선정 한국수력원자력이 참전한 12조원 규모의 카자흐스탄 원자력 발전소 수주전이 본격화하고 있다. 카자흐스탄 원전은 한국과 프랑스, 러시아, 중국 등 4개국이 경쟁할 전

n.news.naver.com

 

건설회사 망하게는 하지 않겠다는 의지

건설이 우리나라 경제의 20%(?) 수준이니 건설 죽이고 경제를 살릴 수는 없는 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950842?sid=100 

 

[속보]尹 "미분양 주택, 정부가 매입해 취약계층에 임대 검토"

윤석열 대통령은 3일 "지금 미분양 주택들이 시장에 나오는데 정부 공공기관이 이를 매입하거나 임차해서 취약계층에게 다시 임대를 하는 이런 방안도 깊이 있게 검토해달라"고 주문했다. 윤 대

n.news.naver.com

 

DDR5 가격 인하로 돌파구 마련
인텔의 전용 CPU 출시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DDR5 가 전체적으로 전기 사용량 30% 줄일 수 있어 기후변화와 온실가스를 고려한다면 DDR5 선택이 당연하다 싶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25486?sid=101 

 

차세대 D램 표준 DDR5, '메모리 혹한기' 돌파구 될까

기사내용 요약 '메모리 혹한기' DDR5, 프리미엄 30→20% 축소 가격 부담 낮아져…"교체 수요 자극할 것" 기대 [서울=뉴시스] 이인준 기자 = 메모리 혹한기를 맞아 신성장동력으로 꼽히는 차세대 D램

n.news.naver.com

 

DDR5 전용 소켓 출시한 ISC
DDR5가 주력 D램으로 사용되면 소켓 판매도 급증하겠군요.

https://www.mk.co.kr/news/business/10592339

 

아이에스시(ISC), 차세대 D램 소켓 ‘iSC-N5’ 출시 - 매일경제

차세대 메모리반도체 DDR5 전용 소켓 차세대 전도성 파우더 적용...성능 향상 2월 국내 반도체 전시회서 선보일 예정

www.mk.co.kr

 

메타버스 관련주

애플, 메타 등 메타버스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제 출발을 위해 시동을 걸고 있는 시점이니 잘 살펴봐야 합니다.

https://view.asiae.co.kr/article/2023010409455648694

 

[단독]尹 "규제가 시장 못따라가"…메타버스 등 혁신기술 제도 대정비 예고

윤석열 정부가 인공지능(AI),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 신기술 분야에 대한 규제 개혁에 나선다. 반도체와 부동산 등 기존 산업군에 대한 규제 철폐에 이어 미래 기술시장을 대대적으로 점검해 본

www.asiae.co.kr

 

메타버스와 쌍으로 짝짓기

메타버스 구현을 위해서는 초고해상도 MR 기기가 필요하죠. 몰입감은 좋고, 오래 사용해도 머리 아프지 않아야 

https://zdnet.co.kr/view/?no=20230104082145 

 

"애플 MR 헤드셋, 디지털 크라운 갖추고 렌즈 자동 조정"

애플이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진 혼합현실(MR) 헤드셋에 대한 추가 정보가 공개됐다.IT매체 디인포메이션은 애플의 MR 헤드셋이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 전환을 위해 우측에 ...

zdnet.co.kr

 

140조 시장 선점하다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47715 

 

[단독] 삼성물산, 유럽 모듈러 건설사 '포르타프로'와 맞손…'140조' 시장 선점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물산이 미래 신(新) 성장 동력으로 글로벌 모듈러 건설 시장 선점에 나섰다. 모듈러 건설은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흐름에 따라 친환경 공법으로 주목받으며 빠르게 성

www.theguru.co.kr

 

LG전자
휴대폰 포기 이후 모든 사업부가 순항 중입니다. 단지 주가만 하락했을 뿐!

https://news.g-enews.com/article/Industry/2023/01/202301040957072252de014c1a1f_1?md=20230104103035_U 

 

https://news.g-enews.com/article/Industry/2023/01/202301040957072252de014c1a1f_1?md=20230104103035_U

 

news.g-enews.com

 

현금은 도깨비방망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26870?sid=105 

 

1조 투자 유치 추진 카카오엔터, 자금 숨통 트이나

기사내용 요약 PIF·GIC, 카카오엔터에 대규모 프리 IPO 투자 추진 투자 혹한기에 다소 늦춰졌지만 K-콘텐츠 높이 평가 대규모 자금 확보해 자금 부담 덜 듯 SM엔터 인수 속도 낼 것이란 전망도 [서울

n.news.naver.com

 

이상 오늘의 특징주와 주요 테마 뉴스를 살펴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