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발 매수세 기대되나 추세는 하락,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개최

시골선사 쟌 발행일 : 2023-02-23

반발 매수세 기대되나 추세는 하락 전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개최

한국은행
서울 태평로 한국은행 입구.

2월 23일 미국증시

- DOW: 33,045.09p (-84.50p, -0.26%)
- S&P500: 3,988.76p (-8.58p, -0.21%)
- NASDAQ: 11,507.07p (+14.77p, +0.13%)
- 러셀2000: 1,893.80p (+5.58p, +0.30%)

snp500지수
snp500지수

 

미 증시는 전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에 힘입어 상승 출발했으나 장 초반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의 발언 영향으로 낙폭을 확대하기도 하였지만 이전 발언과 큰 차이가 없었다는 점에서 재차 상승 전환. 

FOMC 의사록 공개 전까지 매수세가 이어지며 제한적 상승 흐름을 보였지만, 매파적 의사록 공개이후 달러강세는 더욱 강해지고 국채수익률은 낙폭을 축소하며 투자심리 위축. 

S&P 500을 구성하는 11개 업종 중 소재(+0.7%), 자유소비재(+0.5%)를 제외한 나머지 9개 업종은 하락 

 

2월 23일 한국 관련 ETF

- MSCI 한국지수 ETF: $59.48 (-0.64, -1.06%)
- MSCI 이머징지수 ETF: $38.96 (-0.23, -0.57%)
- Eurex kospi 200: 315.22p (-0.98p, -0.31%)
- NDF 환율(1개월물): 1,301.93원 / 전일 대비 4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2,892.39 (-13.87, -0.48%)

 

Eurex KOSPI200 선물은 0.31% 하락. KOSPI는 0.2~0.5% 내외 하락 출발할 것으로 예상. 

금일 국내 증시는 미 증시가 FOMC 의사록 내용을 소화하며 혼조세를 보인만큼 장 초반 약세 출발할 것으로 예상되나 전일 하락에 따른 저가매수세 유입도 기대. 특히 달러인덱스 및 미 국채수익률 상승에도 하락폭이 제한적인 점과 달러/원 환율이 오히려 하락한 점은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지속될 수 있음을 시사

한국은행이 발표한 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동기대비 5.1%를 기록하며 7개월 연속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전력물가는 전월대비 10.9%나 급등하며 43년 만의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 

특히 전력을 포함한 가스·수도·폐기물 품목 역시 전월대비 4%나 뛰며 향후 소비심리가 위축될 가능성을 키웠다는 점은 우려. 또한 금일 예정된 2월 금융통화위원회 결과에 주목해야. 

현재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3.5%로 이번 회의에서 ‘동결’ 전망이 지배적

실제 우리나라는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이른 시점인 2021년 8월부터 긴축 모드에 들어서며 인플레이션에 적극 대응. 

그러나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5.2%로 12월 5.0%에 비해 다시 상승하는 모습 보이며 불안정한 물가 흐름 지속될 것으로 전망. 

이에 이번 회의에서는 ‘동결’되더라도 추후 상황과 데이터에 따라 인상할 수 있다는 여지와 평가에 주목해야

 

2월 23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2월 FOMC 의사록이 예상 수준으로 평가되며 금리가 내렸습니다.  
(2)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이 60%로 5%p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3) 금융위가 5대 은행 중심 과점체제 개편에 착수했습니다.

 

2월 23일 관심테마 & 이슈종목

1. 엔비디아 관련주
- 엔비디아가 장 마감후 분기실적을 발표하였는데 4분기에 14.1억달러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예상치를 81% 상회함
- 1분기 전망치도 65억달러를 제시하며 애널리스트 예상치인 63.1억달러를 상회
- 엔비디아 CEO는 머신러닝 SW를 개발하기 위해 엔비디아 반도체를 구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언급
- 시간외에서 8.6% 상승
- 관련주 : MDS테크, 씨이랩

 

2. 원격진료 관련주
- 윤대통령이 소아과 진료 관련해 "밤에 아이들이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24시간 비대면 진료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라고 언급
- 관련주 : 이지케어텍, 케어랩스, 인성정보, 비트컴퓨터

 

 3월의 일타종목 - 정부 정책이 가져올 낙수효과

- 큰 기업을 강조하던 尹정부 23년 산업별로 정부 정책 발표: STO와 Chat GTP가 촉발한 AI 정책이 연초 화두
- 항공우주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과 우주항공청 신설도 예정되어 있어 추적 필요
- 정부 주도 산업확대는 자금 중소형 기업들에게 강력하게 작용: 23년 정책 수혜 기대되는 종목 주가 흐름 관심 필요

Top Picks
1) 인텔리안테크
- 원자재 공급 이슈로 인해 위성통신 안테나의 공급 부족 현상에 따른 수혜 전망
- 23년부터 본격적으로 발생할 저궤도 위성향 안테나 매출도 투자포인트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00,000원 제시

2) KG이니시스
- 전자결제: 여행/항공 부문 거래금액 회복과 모빌리언스 성장에 따른 실적 확대 
- 할리스커피와 프레시(간편식) 엔데믹 전환으로 매출 확대, 시너지 효과 발생 중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9,000원 제시

3) 제노코
- 진행률 기준으로 인식하는 프로젝트들의 인식이 23년으로 지연되며 올해 본격적인 외형 성장 전망
- 우주항공청 신설 및 누리호 3차 발사 등 항공우주 관련 정책과 사업이 본격화 될 전망
- 위성지상국과 위성체 및 인터콤 등 항공우주 전 밸류체인에 걸쳐 사업영역을 보유한 동사 수혜 기대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1,000원 유지

관심종목
두산 / KG모빌리언스 / 파마리서치 / 솔트룩스 / 라이프시맨틱스

 

2월 23일 주요 뉴스 

 

 

미 연준, 다음달에도 0.25%P 인상 시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 초 기준금리를 25bp(0.25%P, 1bp=0.01%포인트) 인상한데 이어 다음달에도 같은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연준이 22일(현지시간) 공개한 2월 연방공

v.daum.net

 

 

브레이크냐 엑셀이냐..3.5% vs 3.75% 한은의 선택은

기준금리 3.5%에서 동결이냐 3.75%로 인상이냐. 오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경기부양과 물가잡기 중 어느 쪽에 방점을 찍을지 주목된다. 2021년 8월 이후 3%p를 인

n.news.naver.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