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목균형표 응용 1 _ 이평선과 MACD 오실레이터 비교

시골선사 쟌 발행일 : 2022-11-16

앞 포스트에서 일목 작성방법과 의미를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응용 1 편으로 일목균형표와 이동평균선, 추세지표인 MACD 오실레이터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 일목균형표와 이평선의 비교 

기준선, 전환선, 선행스팬 모두 응용 이동평균선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평선은 종가 기준 평균값이지만 기준선, 전환선, 스팬은 고가와 저가 중간값의 이평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선행스팬 1 은 기준선(26일)과 전환선(9일) 의 평균값이고 선행스팬 2는 56일 고가/저가 중간값의 이평선입니다. 구름대는 선행스팬 1과 2 사이를 의미하며 1과 2는 중기 이평선과 장기 이평선으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스팬 1은 중기 이평선, 스팬 2는 장기 이평선입니다. 스팬 1이 스팬 2 위에 있을 때의 구름은 양 구름 즉 이평선 정배열 상태와 같고, 스팬 1이 스팬 2 아래에 있으면 음 구름으로 역배열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양 구름은 상승추세, 매수세가 강한 시장을 의미하고, 음 구름은 하락 추세, 매도세가 강한 시장을 의미합니다. 

 

일목균형표의-양운-음운
양구름(운) 음구름(운)

 

위의 그림과 같이 주가의 위치가 전환선, 기준선, 양 구름 상태 이면 정배열 상태로 상승 추세이며 각각의 선들이 지지라인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위 그림에서는 이평선을 작성하지 않았지만 5일선, 20일선, 60일선은 정배열을 만들었고, 60일선과 120일선 간격이 좁혀지며 골든크로스를 준비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광고

 

2. 구름대와 MACD의 비교

MACD 오실레이터의 색깔과 구름대의 색깔이 유사합니다. MACD 역시 이평선 간의 차이를 그래프화 한 것이며 디폴트 값은 12일, 26일 이평선입니다. 즉 12일 이평선과 26일 이평선 차이를 MACD라고 하며 Signal은 MACD 9일 평균값이며 MACD와 시그널의 차이를 막대그래프로 표시한 것이 오실레이터입니다. MACD 그래프가 시그널 위에 있을 때는 양운과 같은 양봉으로 표시하고 MACD수치가 시그널 보다 아래에 위치하면 그 차이를 음운과 같은 음봉으로 표기합니다. 음봉에서 양봉으로 변화할 때가 상승 추세 전환 확인이며, 양봉에서 음봉으로 변할 때 하락 추세 확인입니다. 

물론 기준일을 변경하여 MACD 오실레이터 신호를 자주 발생하게 할 수도 있고, 늦게 발생하게 할 수 있습니다. 대체로 선행스팬 1, 2 구름대와 비교하여 MACD가 빠른 추세를 보여 주고 있습니다. 

순서는 전환선, 기준선, MACD, 구름대 전환의 순으로 진행됩니다.

 

전환선 돌파 => 기준선 돌파 => 전환선이 기준선 돌파 => MACD 오실레이터 양봉 전환 => 구름대 양운 전환

일목균형표의 구름대는 MACD 오실레이터를 차트에 옮겨 놓으면서 26일 앞으로 보낸 것과 흡사하며 현재 주가와의 비교에서는 지지, 저항대로 작용하며 차트에서 추세 방향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3. 요약 정리 

일목은 이평선의 또 다른 표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 중기, 장기 이평선으로 시장을 판단하듯이 균형표의 기준선, 전환선, 후생 스팬 등으로 주가의 방향성과 추세, 지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추세지표인 MACD 역시 일목균형표에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선행스팬 1, 2의 구름대와 오실레이터는 중기 이평선과 장기 이평선 사이를 색칠한 것이기에 그 의미가 비슷합니다. 신호의 시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기준선, 전환선, 선행스팬 등으로 보정이 가능한 차이입니다. 이처럼 일목에는 이평선, 추세 지표 등 여러 지표가 동시 포함된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댓글